- 비밀번호 변경을 클릭하시면 비밀번호 변경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30일 연장를 클릭하시면 30일 동안 메세지를 보지 않습니다.
쿠키 대결
‘쿠키 대결‘은 미국 대선 전에 하는 또 다른 대결로, 1992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대선 전에 후보자 집안의 쿠키 레시피로 쿠키 대결에서 이기면 남편이 대통령이 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관습이 있었는데요.
이 대결에서 클린턴은 1992년 대선에서 쿠키의 요리법을 다시 내놓으며 멜라니아보다 3배나 많은 표를 얻어 연속으로 승리하였습니다.
투표권은 무조건 한 표?
네덜란드는 유권자의 투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위임투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 75~80%대의 높은 투표율을 자랑합니다.
위임투표란 대리투표가 가능한 제도로서 유권자가 서명한 후에 가족이나 친척, 친구 등에게 투표를 위임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리인은 자신을 포함해 최대 세 표 까지 행사할 수 있어요.
위임투표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어떤 후보자를 선택할지에 대한 비밀을 보장합니다.
투표를 안 하면 전과자가 될 수 있다고?!
● 세계 최초로 전국적인 의무투표제를 실시한 벨기에
▶1893년 의무투표제 시행
▶투표 미참여자의 명단은 검찰로 보내짐
▶투표 불참이유가 타당한 경우, 벌금이 부과되지 않음
▶15년 이내에 4회 투표를 하지 않은 사람은 10년동안 투표권 박탈 및 공직 취임 제한
● 90% 이상의 높은 투표율, 호주
▶1925년 연방정부 차원에서 의무투표제 도입
▶시민권자는 의무적으로 선거인명부에 등록
▶등록하지 않았을 시 벌금
▶극단적인 경우, 감옥도 갈 수 있음
▶정당한 사유 없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면 벌금 증가
의무투표제는 유권자가 의무적으로 투표에 참여하거나 선거일에 투표소에 오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일렉션 잉크?
국토가 넓어 유권자 수가 많은 인도와 필리핀 등에서는 손가락에 잉크를 묻혀서 투표했음을 인증합니다.
유권자들의 중복 투표를 막기 위해 유권자들의 신분을 확인하고 잘 지워지지 않는 특수 잉크를 투표를 마친 유권자의 손가락에 묻힙니다.